자소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지원서 내 학위 기재 오류
25년 2월 석사학위 졸업예정자 신분으로 최근 모 대기업에 서류 합격을 했습니다. 근데 지원서 작성 당시 졸예자도 석사학위를 최종학력으로 기입해야 하는 것을 몰랐어서 학사학위로 입력하는 정말 말도안되는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정말 몰랐습니다 ㅠㅠㅠ) 인사팀에 물어본결과 석사학위 경력은 인정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깔끔하게 다음 시즌을 준비하는게 옳은 선택일까요? 고민 중인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번 면접 기회가 다음에 올지도 미지수 2. 중고신입 이직계획이 있어서 큰 영향이 없을 것 3. 하지만 설령 입사한다해도 이미지도 안좋을 것 4. 또한 만약 오래 다니게 된다면 2년 경력의 스노우볼이 크게 굴러갈 것 마음이 심란해서 일이 손에 안잡히네요.. 현직자분들의 의견 적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2024.10.11
답변 10
CareerArchitect11번가코사장 ∙ 채택률 89%안녕하세요 자기소개서를 평가하고 있는 현직 멘토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학사학위를 마지막으로 작성하신 것이 옳으며, 생각보다 애매한 기준에 대해 오기입하는 것은 비일비재한 일이기 때문에 겪으신 일은 큰 실수가 아닙니다. 인사팀에서 말하는 석사학위 인정여부는 내가 기입한것과는 별도로 석사학위라고해서 연봉이나 인정연차를 올려주지 않는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국내회사에서는 연구소가 설치된 금융업계, 제조업계가 석사학위를 인정해주는 편이며 최근 채용규모로는 2차전지 업계(SK온, 엘지에너지솔루션)에서 석사학위로 연차와 연봉을 올려서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해당 회사가 석사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지, 인정되는 회사로 나중에 이직을 하게 된다면 다시 산정이 되게 되므로 입사하셔도 문제가 없습니다. 입사 후에도 계속 취업을 준비한다고 생각하시고 2년 내 중고신입으로 이직하시면 되겠습니다. 인사팀에 이런 저런 내용을 문의했다고 해서 이미지가 안좋아지지 않습니다. 제출 서류와 관련된 내용은 흔한 일이고, 내가 인사팀으로 입사하지 않는 한 실무에서 같이 일하는 사람들은 인사팀을 일반 직원의 연봉협상에 방해되는 존재로만 여기기 때문에 본인의 이미지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 니니꿈은뭐니삼성전기코사장 ∙ 채택률 86%
댓글 1
수수원공대생작성자2024.10.11
사실 삼성 그룹이긴 합니다만.. 전화도 해보고 메일로 문의도 남겨봤지만 지원서에 기재하지 않아서 채용 이후에도 인정받을 수 없다는 답변만 받았습니다. 자기소개서에서 석사학위 관련 언급된 내용이 있는데 면접에서 오기에 대한 사항을 말씀드리는게 나을까요?
함께 읽은 질문
Q. 학점 질문드려요
현재 학점3.61입니다 마지막 학기 냅두고 c+받은 과목을 a0 노려보려고 합니다 헌데 이 학점이 유의미한지, 차라리 다른 걸 더 시간을 써야할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재수강시 10학점 듣개되며 c+-> a0 올린 후 막학기 4.5 받으면 3.69 그대로 갈시 3.66입니다 a0도 자신이 있는 것은 아닌데 유의미한지 궁금합니다 시간을 여기다가 써도 될만큼인지 헷갈려 질문드립니다
Q. 요즘 채용공고 별로 없다고 생각했는데
요즘 채용공고 없다고 생각했는데 여기 보니까 좋은 기업 꽤 많네요 복지도 괜찮고 규모도 있고 이 중에 어떤 기업이 그래도 가장 유망할까요? 선배님들 조언 필요합니다 지금 진행 중인 서비스 운영 사업 운영 CX CS 운영매니저 채용공고 4탄(서비스 운영 연봉, 사업 운영 채용, 사업 운영 이직 등): https://groupby.careers/%ec%a7%80%ea%b8%88-%ec%a7%84%ed%96%89-%ec%a4%91%ec%9d%b8-%ec%84%9c%eb%b9%84%ec%8a%a4-%ec%9a%b4%ec%98%81-%ec%82%ac%ec%97%85-%ec%9a%b4%ec%98%81-cx-cs-%ec%9a%b4%ec%98%81%eb%a7%a4%eb%8b%88%ec%a0%80-2/
Q. 4대공단 기술직 전기 현직자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 현재 직무와 근무 형태 (현장·사무 비율, 업무 난이도·강도, 하루·주 평균 실 근무 시간, 야간교대근무) 2. 민원·고객 응대 시 겪는 스트레스 수준과 기억에 남는 사례 3. 1년 중 바쁠 때와 한가할 때는 언제이며, 초과·야간·비상근무가 발생하는 빈도와 평균 시간 4. 현장 출장·외근은 얼마나 자주, 어느 거리까지 다니시며 업무 수행에 자가용이 필수인지 5. 특정 지역에 장기 근무(알박기)가 가능한지, 절대로 사택에 들어가고 싶지 않은데 사택을 쓰지 않고 자택 거주를 선택할 경우 근무지 인근에서 적절한 주택 구하기 난이도나 높은 임대료·매물 부족·교통·문화·의료 인프라·통근 시간 등 실제 애로 사항이 있는지 6. 사내 분위기와 소통 방식은 어떠하며, 학력·부서 간 차별이 있나요? 특히 어느 부서, 지사, 사업소등이 기피지로 꼽히는지, 실제로 그곳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7. 조직의 미래 전망은 어떻나요? 구조조정·민영화나 다른 공기업과 통폐합, 해체 가능성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



